리뷰
[리뷰] 캐논 | SPEEDLITE EL-1 플래시 리뷰 / 사용기
등록일 :2021-02-19 10:51:12 조회수 :139,395 추천수 :0

canon EL-1

EOS 라이팅의 새로운 플래그십이 우뚝 솟았다. 기존 600EX II-RT 를 넘어선 최상위 플래시의 새로운 등장. 이 번에 새롭게 선보인 스피드라이트 EL-1은 그간 사용해온 외장 플래시들이 지닌 표현력의 한계를 깨뜨렸다. 1/8192 최소 발광 지원, 0.9초의 고속 충전, 1/1 고광량 에서도 약 335회에 이르는 배터리 관리 성능과 1/1 발광에서 약 160회 이상의 연속 발광 성능 등이 가져온 결과. 이 외에도 새로운 UI 채택으로 인터페이스 에서도 캐논 최신 카메라들과의 조작 유연성을 추구했다. 세계 최초 AI Bounce를 탑재한 470EX-AI가 쉬운 바운스 플래시로서 신선한 충격을 안겨주었다면 EL-1 은 상업, 보도, 모델, 작품 촬영 등 모든 촬영 분야에서 열정을 쏟는 프로 사진가들에게 기존보다 훨씬 폭넓은 창조의 자유를 안겨주며 플래그십의 새로운 기준을 마련했다.

* 팝코넷은 본 콘텐츠 제작을 위해 캐논코리아컨슈머이미징㈜ 로부터 플래시와 카메라(EOS R5)를 무상 대여 받았으며 리뷰 포스팅 후 대여 제품 반납과 함께 소정의 리뷰 제작 수고료를 지급받습니다.

* 리뷰에 첨부된 촬영 샘플은 후보정이 없는 리사이즈 본입니다.
* 기능 샘플은 별도 장비 동원 없이 EL-1 1대 만으로 촬영했으며 600EX II-RT를 함께 사용한 5장은 샘플 상단에 별도 표기 했습니다.

canon EL-1
canon EL-1
canon EL-1
최소 발광 1/8192 지원 뛰어난 연속 발광 성능
발광 안정성 향상으로
최소 1/8192(GNo. 약 0.4)를 지원
새롭게 개발한 액티브 쿨링 시스템으로
약 160회 이상의 연속 발광 가능
14f-stops의 폭넓은 표현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한 발광
1/8192 지원에 의한 디테일한 빛 컨트롤
14f-stops의 폭넓은 표현력을 발휘
제논 튜브를 새롭게 채용하고
광량 제어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어떤 환경에서도 안정적 발광을 실현
새로운 리튬 이온 배터리 채택 다양한 고급 기능
새로운 리튬 이온 배터리 채택으로
0.9초의 고속 충전을 실현 (1/1 발광 시)
발광 횟수도 크게 개선 (1/1발광 : 약 335회)
LED 모델링 램프
전파 통신 무선 후막 동조
새로워진 UI 방진 방적 구조
조이스틱을 중심으로 새로운 UI를 채택하여
보다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쾌적한 조작이 가능
EOS-1D X 시리즈+600EX II-RT 와 동등한
방진.방적 구조를 채택
canon EL-1 canon EL-1 canon EL-1
canon EL-1
canon EL-1
canon EL-1

“SPEEDLITE EL-1” 제품 네임부터 플래그십 임을 보란 듯이 뿜어내고 있다. 이 플래시를 제대로 활용하기 시작하면 기존의 600EX II-RT 는 이전 플래그십 으로만 기억될 뿐, EL-1는 확실히 급이 다른 플래시 임을 깨닫게 된다. 이 엄청난 플래시를 받아 든 순간 과연 내가 제대로 잘 활용할 수 있을지 두려움이 앞서기도 했는데 인물을 촬영할수록 기존 제품들과의 차이가 점점 더 명확해져 갔으며 오히려 플래시 사용성 면에서도 더 편한 점이 많았다. 다소 크고 가격이 높을 뿐 촬영 편의성과 표현력 범위에서 다른 라인업으로 느껴진 플래시다. 무엇보다 직광으로 촬영해도 플래시를 켠듯 만듯한 자연스러운 표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깊은 인상을 받았다. 기존 1/128 보다 약한 광량인 1/160부터 1/3 EV 스텝씩 무려 약 GNo 0.4의 1/8192 광량까지 지원. 이건 타사 그 어떤 플래시에서도 찾아 보기 힘든 미세 발광 퍼포먼스다.

SPEEDLITE EL-1 SPEEDLITE 600EX II-RT
수동 광량 조절 범위 1/1 ~ 1/8192 1/1 ~ 1/128
가이드 넘버 (Ws) [15] 27~60 (76Ws) [15] 27~60 (76Ws)
유효 플래시 범위
(50mm F1.4, ISO 100)
일반 발광 : 0.5 ~ 26.1m
퀵 발광 : 약 0.5 ~ 16.0m
고속 동조 : 약 0.5 ~ 13.8m (1/250초)
일반 발광 : 약 0.5 ~ 27.8m
퀵 발광 : 약 0.5 ~ 14.8m
고속 동조 : 약 0.5 ~ 14.7m (1/250초)
조사 범위 24-200mm
(와이드 패널 사용 시 : 14mm)
20-200mm
(와이드 패널 사용 시 : 14mm)
바운스 조절 각도 상 120도 / 하 7도 / 좌,우 180도 상 90도 / 하 7도 / 좌,우 180도
노출 제어 시스템 E-TTL II / E-TTL E-TTL II / E-TTL / TTL
배터리 리튬 이온 배터리 AA형 4개
충전 시간 약 0.1~0.9초
퀵 플래시 : 약 0.1~0.8초
약 0.1~5.5초
퀵 플래시 : 약 0.1~3.3초
발광 횟수 약 335회(1/1발광시) ~ 2345회 약 100회(1/1발광시) ~ 700회
연속 발광 횟수 약 160회 이상(1/1발광시) 약 60회 이상(1/1발광시)
전파 통신 무선 촬영 시간 약 17시간 연속 약 9시간 연속
액티브 쿨링 시스템 O X
FE 메모리 O X
배터리 잔량 표시 O(5단계) X
모델링 램프 / 모델링 발광 O / O X / O
방진 방적 구조 O O
전파 통신 후막 동조 O( 지원 카메라 사용시 ) O
전파 통신 통신 거리 : 최대 약 30m
최대 5개 그룹(A, B, C, D, E), 최대 15개 유닛
통신 거리 : 최대 약 30m
최대 5개 그룹(A, B, C, D, E), 최대 15개 유닛
광 통신 통신 거리 : 실내 0.7 - 15m, 실외 0.7 - 10m
최대 3개 그룹 (A, B, C), 최대 유닛 제한 없음
통신 거리 : 실내 0.7 - 15m, 실외 0.7 - 10m
최대 3개 그룹 (A, B, C), 최대 유닛 제한 없음
크기 약 84.4 × 149.0 × 136.4mm 약 78.7 x 143.2 x 122.7mm
무게(바디만) 572g 435g
캐논 e스토어 가격
(2021년, 2월 15일 기준)
\ 1,469,000 \ 599,000
EL-1 참고 사항 * 전파 통신 무선 기능으로 1/128 보다 작은 광량을 사용하려면 송신기 수신기 모두 EL-1을 사용해야 함
* 고속 동조 설정과 광 통신 무선 기능 활용할 경우 최대 광량은 1/128
* 카메라에서 1/8192 수동 발광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최신 펌웨어 업데이트를 확인
* 연속 발광 160회 이상은 1/1 발광량으로 온도 발광 인터벌이 자동 8초가 되는 온도 경고 1단계 이전까지의 연속 발광 횟수

먼저 본 리뷰는 외관, 스펙 보다 제품 특징을 활용한 인물 촬영에 더 비중을 두었다는 것에 미리 양해를 구하고 시작한다. 아울러 비교 자료를 제외한 첨부 샘플 중 “이거 플래시 효과가 반영된 사진 맞아?” 하는 의문의 사진들이 출몰될 텐데 그 것은 최대한 많은 비교 자료를 통해 어느 정도 이해를 도울 것이다. 그 만큼 14스톱의 넓은 범위에 달하는 플래시 광량 범위로 인해 기존의 플래시들과 다르게 직광 플래시 사용이 정말 재미있는 플래시였다. 게다가 E-TTL 밸런스 기능 지원으로 그 어떤 환경에서도 색 밸런스 및 광 밸런스를 잘 잡아준 편이었으며 연속 발광이나 고속 동조 에서도 결과물의 만족도가 매우 높았다. 이 엄청난 플래시의 활용력을 최대한 높이려면 사용 전 고급 사용자 가이드 매뉴얼을 끝까지 정독하면서 전체적으로 한 번 정도는 풀로 조작해볼 필요가 있다. 현재의 환경 및 플래시 설정에 따른 기능 발휘 범위 등을 인지해놓고 출발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

canon EL-1
canon EL-1
canon EL-1
canon EL-1

최소 1/8192 미세 발광 지원
14f스톱 범위로 세밀한 라이팅 표현

이 플래시의 가장 큰 장점이다. 1/8192까지의 미세 발광 지원으로 플래시를 활용한 사진의 표현력을 넓힐 수 있다. 무려 14f스톱의 범위. 물론 플래시 없는 자연광에 의한 촬영도 부드러운 분위기를 담아내기도 하지만 배경과 피사체 밝기 대비가 크면 색과 화질에서 아무래도 한계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14f스톱, 풍부한 광량 범위의 1/8192 ~ 1/1

아래 첨부한 어두운 야간, 그것도 역광 환경에서의 미세 발광량에 따른 표현 비교 샘플을 천천히 살펴보자. 1/256 ~ 1/8192 미세 발광 영역과 감도를 조합하여 비교해 본 것으로서 동일 조리개와 셔터스피드에서 감도가 높을 수록 배경이 밝아지고 감도 상승에 따라 발광량도 그에 맞추어 조금씩 더 미세하게 발광 촬영하면 인물의 적정 밝기와 밝은 배경의 보다 자연스러운 사진을 담아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발광량 및 감도 설정에 따른 인물 및 배경 표현의 차이 [ M 모드 ]

< 미세 발광 1/8192 (최소 발광) >
< 1/256 발광 > < 1/512 발광 >
< 1/1024 발광 > < 1/2048 발광 >
< 1/4096 발광 > < 플래시 끔 >

미세 발광 영역은 어두운 환경에서 고감도와 함께 배경과의 조화력에서 빛을 발한다. 과거와는 다르게 최근의 카메라는 고감도 화질이 워낙 출중해 ISO 12800 정도 까지도 꽤 깨끗한 이미지로 담아낼 수 있다. 덕분에 EL-1의 1/8192 에 이르는 미세 발광도 활용성이 좋다는 생각. 아마도 이 플래시를 구매한 사용자 중 1/8192가 어떤 경우에 효과적인지 파악하는데는 다소의 시간이 걸리지 않을까 싶다. 그만큼 1/8192는 엄청난 미세 발광 영역으로서 미묘한 느낌으로 차별화된 결과물을 탄생시킨다.


기존 모델들의 1/128 또는 1/256 최소 발광은 어두운 곳에서 피사체가 너무 밝게 표현될 수 있어 심도, 감도, 셔터스피드 등의 조율이 쉽지 않고 표현 범위도 좁으며 피사체와 배경의 밝기 대비가 커지는 이른바 동굴 현상이 출몰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물론 밝은 배경을 위한 슬로우 셔터 동조도 대안 중 하나지만 인물 촬영 시에는 피사체(인물) 블러를 방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셔터스피드 확보가 더 중요하다.

1/8192 발광, 1/128 발광, 플래시 끔 비교 [ M모드 ]

< 미세 발광 1/8192 (최소 발광) >
< 1/128 발광 > < 플래시 끔 >

1/160 ~ 1/8192 범위의 영역을 십분 활용할 필요가 있다. 개인적으로는 1/4096 ~ 1/512 범위의 광량이 일상에서 많이 활용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로 수동으로 1/2048 이하의 약한 광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렌즈 초점거리, 피사체와의 거리, 카메라 세팅값 등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피사체에 빛이 도달하지 않을 수 있거나 효과 반영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

플래시 끔, 1/2048 발광 비교 [ M모드 ]

< 플래시 끔 > < 1/2048 발광 >

플래시 끔, 1/4096 발광 비교 [ A모드 ]

< 플래시 끔 > < 1/4096 발광 >

미세 발광은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 가능하다. 세팅만 잘하면 플래시 사용 여부를 숨길 수 있을 정도로 보다 자연스러운 표현을 제공. 명암 대비 차를 좁히고 그림자를 자연스럽게 제거하며 색과 밝기에서도 훨씬 더 자연스럽고 예쁜 표현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아래는 1/512 발광 이하의 발광량을 활용한 플래시 끔/사용 비교 샘플로서. 플래시를 발광 한 듯 만 듯 최대한 자연스럽게 반영한 예제 몇 개만 골라본 것이다.

미세 발광으로 최대한 자연스럽게 표현된 비교 예제 [ 1/512 이하 광량 ]

< 플래시 끔 > < 플래시 미세 발광 >

미세 발광에 의한 표현력의 범위는 인물 뿐 아니라 꽃, 정물, 음식 등의 근접 피사체 촬영 시에도 유용하다. 자연스러운 표현과 함께 창조적인 표현이 가능해지는 것. 만일 EL-1 플래시 여분 1,2개와 함께 전파 동조 + 미세 발광을 활용한다면 다양한 장면에서 좀 더 자연스러움을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미세 발광과 안정적 발광량
제논 튜브 아크 방전

이런 미세 발광 능력이 가능해진 것은 제논 튜브를 채택하여 안정적인 아크 방전 설계를 지녔기 때문이다. 제논 튜브의 발광으로 플래시가 발광하는데 제논 튜브의 안정적 발광을 위해 전도 필름의 형태와 발광 트리거의 적용 방식을 개선했으며 기존 모델들 대비 발광량의 편차를 현저히 줄였다. 게다가 제논 튜브의 발광 내구성도 향상 시켰으며 발광량 제어와 플래시 측광 연산의 정확도를 높여 1/8192 미세 발광을 실현했다. 이 미세 발광은 수동 발광량 설정뿐 아니라 E-TTL 촬영 에서도 영리하게 사용된다.

canon EL-1
canon EL-1
canon EL-1
canon EL-1

0.1~0.9초 의 고속 충전
약 160회 이상의 연속 발광

발광 성능 관련, 기존 제품과 비교한 캐논의 자료를 보면 EL-1 하나만으로도 압도적이다. 기존 600EX II-RT + CP-E4N 조합에 버금가는 성능을 지녔음을 알 수 있다. AA형 배터리 대신 전용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며 1/1 발광 기준으로 충전시간은 물론 발광 횟수도 더 뛰어나다.

canon EL-1

플래시 자체 만의 고속 충전 성능 0.1~0.9초는 1/8192 ~ 1/1 발광 범위에서 유동적이다. 적정 광량으로 촬영시 EOS R5의 고속 연속 촬영 H 모드(최대 약 8fps)를 충족하는 충전 속도를 지닌 셈이다. 아래는 플래시 광량 1/25 설정에 고속 연속 촬영 모드로 연속 발광하며 촬영해본 Servo AF 플래시 발광 결과물이다. 최대 8fps 고속으로 연속 발광해도 모든 컷들의 발광량이 일정함을 보여주었는데 이 성능이 외장 플래시 활용에서 은근히 중요한 요소다.

H 모드(최대 8 fps)에서 연속 발광 촬영 [ 발광량 1/25 설정 ]

canon EL-1

연속 발광으로 촬영하려면 촬영 환경에 따른 적절한 발광량 설정이 필요하다. 연속 발광 횟수는 약 160회 이상. 이는 1/1 발광량으로 온도 발광 인터벌이 자동 8초가 되는 온도 경고 1단계 이전까지의 연속 발광 횟수. EOS R5의 전자식 선막 최고 연사 속도인 12fps를 커버 가능한지 테스트 해보았다. 1/128 광량에 H+ 연사 모드(최대 약 12fps)로 촬영해보았더니 굉장히 장시간 동안 연속 발광이 가능했다.(아래)

연속 발광 성능 [ 발광량 1/128 설정, H+ 연사모드(최대 약 12fps) ]

최고 약 12fps 로 촬영했는데도 발광이 멈출때까지 모든 컷이 발광이 되었으며 위 영상의 카메라 액정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연속으로 촬영한 결과물들의 밝기가 모두 일정했다는 점에 더 놀랐다. 플래시를 잠시 쉬게 한 후, 이 번엔 좀 더 밝은 1/10 광량에 H 연사 모드(최대 약 8fps)에서 테스트 해보았더니 391매를 연속 발광하면서 촬영 후 잠시 멈추었다. H 연사에서도 모두 발광하며 촬영하려면 1/10 이하의 광량을 사용해야 한다. 이 번 역시 연사에 의한 발광 결과물들의 밝기가 일정했다.

연속 발광 성능 [ 발광량 1/10 설정, H 연사모드(최대 약 8fps) ]

이 번엔 좀 더 밝은 1/5 광량에 저속 연사인 3fps 로 촬영해보았더니 305매를 속도 저하 없이 플래시를 계속 발광하며 촬영 후 잠시 멈추었다.

연속 발광 성능 [ 발광량 1/5 설정, 저속 연사 모드(최대 약 3fps) ]

1/4~1/1 광량에서는 EOS R5의 연사 모드를 커버 할 수 없고 인터벌, 또는 단사에 의한 연속 촬영을 해야 한다. 그렇다 하더라도 충전 시간 약 0.9초를 지원하기 때문에 웬만한 상황에서는 다음 컷에 자연스럽게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1/1 연속 발광 160회 이상 촬영이라는 스펙이 1/1 발광량에 모두 0.9초의 동일한 간격으로 160회 이상 발광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 실제 1/1 발광에 인터벌 1초 간격으로도 연속 촬영을 해보았는데 1초 간격으로는 연속 22매까지 발광한 뒤 리챠징 속도가 1.1초 1.2초 1.3초씩 서서히 느려졌다. 리챠징 속도 1초가 넘어간 뒤에도 2초 이내 연속 발광 기준으로 총 167매를 연속 발광으로 더 버텨냈다. 그 뒤에는 약 5초 이내의 리챠징 속도로 30매를 더 촬영한 뒤에 1차 온도 경고가 떴다.

  • canon EL-1
  • 결국 1/1광량 연속 촬영 테스트 기준, 1차 온도가 뜰 때 까지 1초 이내 간격 22매 + 2초 이내 간격 167매 + 5초 이내 간격 30매로 총 219매를 촬영한 뒤에 1차 온도 경고가 떳다. 추가로 필드에서 많이 사용하게 될 1/2 발광으로는 1초 이내 간격으로 57매를 연속으로 발광 촬영한 뒤에 리챠징 속도가 조금씩 느려졌다.

  • 여하튼 전체적으로 보면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굉장한 연속 발광 퍼포먼스다. 필드 촬영시 연속적인 발광 촬영에 스트레스가 거의 없을 듯 하며 중간 용량 이하의 낮은 배터리 에서도 연속 발광 성능에 크게 지장을 주지 않는 성능을 보였다. 참고로 연속 발광 이후 즉시 다시 연속 발광을 실시하면 연속 발광 성능에 지장을 준다는 점은 인지해둬야 한다.

    제논 튜브와 액티브 쿨링 시스템

    이 같은 뛰어난 발광 성능은 내구성이 뛰어난 제논 튜브 채택으로 인해 발광 안정성과 내구성을 크게 향상 시켰기 때문이다. 팬과 유리 패널을 사용한 액티브 쿨링 시스템으로 내열성을 향상시키고 냉각용 공기가 플래시 헤드 내부를 순환하도록 설계되어 방진 방적 성능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canon EL-1

    1/1 최대 광량으로 약 335회 발광 성능
    배터리 잔량 표시 및 상세 상태 기능

    결혼식, 피로연 촬영 등의 고광량 위주 촬영이나 스포츠, 보도 촬영 등에서도 하나의 배터리로 장시간 커버가 가능하다. AA 배터리 12개의 성능. 실수로 배터리를 휴대하지 않았을 경우 AA 형 배터리처럼 유사시 대처가 어려운 단점이 있긴 하지만 촬영 중 배터리 교체의 번거로움이 줄어 시간도 절약되고 중요한 순간들도 덜 놓친다. 배터리 하나를 여분으로 갖추어 보다 여유있게 운용해도 좋지만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된 상태에서 2시간 10분이면 완충이 되기 때문에 식사 시간이나 쉬는 시간을 잘 활용하면 배터리 1개로 운용을 시작해도 큰 문제는 없을 듯 하다.

    canon EL-1

    배터리는 7.2V 1920mAh 13.8wh 의 LP-EL 모델. 카메라 배터리와 동일한 모델이었다면 더 좋았겠으나 플래시 성능에 최적화 하여 새롭게 설계되었다. 그런데 충전기는 카메라의 충전기 LC-E6 / LC-E6E 를 같이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래시 액정 정보를 통해 배터리의 잔량 상태를 5단계로 보여주며 내부 메뉴를 통해 보다 더 상세한 정보를 확인 가능하다.

    canon EL-1
    canon EL-1
    canon EL-1
    canon EL-1
    canon EL-1
    canon EL-1

    Copyright 2004~2021 POPCO.net All Rights Reserved.

    *저작권법에 의해 정당한 권리 없이 본사이트의 내용을 무단 복제, 편집한후, 출판 및 전송했을 경우에는 그로인해 발생하는 손해를 모두 배상하여야 합니다.

    추천 0

    팝코넷은 회원여러분들이 가꾸어 가는 공간입니다.

    상대에게 상처를 주기보다는 같이 즐거워 할 수 있는 멋진 코멘트 부탁드려요.
    상대방에 대한 비방이나 욕설등 부적절한 코멘트의 경우 운영진의 판단하에 삭제될 수 있으니 주의 부탁드립니다.

        
    49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001
    추천
    댓글 이벤트에 당첨 되신 분은 해당 리뷰 제품 명을 제목으로 하여 기프트 콘을 받을 휴대폰 번호를 적어
    팝코넷'이벤트 관리자'로 쪽지를 보내주세요.('콘텐츠 관리자'가 아닙니다.)

    ★무작위 기프트콘 : 댓글을 다는 즉시, 실시간으로 랜덤 당첨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선정 기프트콘 : 제품에 관한 유익한 정보나 인상 깊은 댓글을 올려주신 분을 추가로 선정할 수 있습니다.
    -쪽지가 수신되면 기프트콘은 차주 초에 발송되며, 이벤트 종료후 7일 후에도 쪽지가 없으면 자동 취소됩니다.
    -동일 아이디 및 동일 아이피의 무분별한 연속 댓글은 당첨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이벤트 기간내에 작성된 댓글은 삭제할 수 없다는 점을 유의해주세요.
    -리뷰 게시물에는 하루에 최대 2개까지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단, 댓글의 댓글은 제한이 없습니다.
    2021-02-19 10:51 신고

    002
    도현아빠 추천
    넘 충실한 리뷰입니다. 잘 보고 갑니다.
    캐논의 ETTL도 원래 훌륭했지만, 미세발광과 분위기우선모드 같은 추가적인 기능들이 상당히 인상적이네요...
    발광량이 너무나 섬세하게 조절되서 기회가 되면 한번 써보고 싶습니다
    2021-02-19 12:18 신고

    003
    [LX100M2]사이타마 추천
    역시 카메라 회사 답군요.
    파나소닉을 쓰면서 불만이 항상 스트로보였는데, 메츠 같은 회사 제품 쓰라는건지.... 본인 회사에서는 스트로보를 잘 안만들어냄;
    2021-02-19 15:00 신고

    004
    QueeNni 추천
    기능이 사악할 정도로 많은 만큼 가격도 사악할 정도네요...ㅎㄷㄷ

    여러 루트로 이번 플래시 샘플 사진들을 보고 있는데
    카메라 사진이 폰사진을 따라가는 건 아닌가 싶을 정도였고
    그런 이미지에 잘 어울리는 결과물을 뽑아주는 느낌이었구요.

    1/128이나 1/256도 미세발광이라고 생각했는데
    1/8192면 어마어마하네요.

    언제나 멋진 리뷰 감사드립니다.
    2021-02-19 15:06 신고

    005
    몬테나 추천
    600EX II - RT 에서 대단한 발전이네요..
    1/8192초 상에서 발광도 600 모델에서 지원이 되는 데 (M모드로 수동 1/8000초(선막동조))에서 지원이 되는 사항을 새로운 스트로브에 지원 범위로 넣다니
    대단합니다.
    모든 면에서 구 모델보다는 좋지만 구 모델의 호환성보다는 전용 모델을 갖춰야 하는 것이 아쉽습니다.
    좋은 리뷰 잘 보았습니다.
    2021-02-19 16:51 신고

    006
    꿈꾸는아이 추천
    발광여부에 따라 피부 표현이 하늘과 땅 차이네요.
    사용 해보고 싶은마음이 솟구치게 만드는 리뷰네요.
    2021-02-19 20:18 신고

    007
    블루지니 추천
    이번 리뷰는 플래그쉽 스트로보의 성능도 성능이지만 리뷰어님의 조명에 대한 이해와 내공이 돋보이는 유익한 리뷰였습니다. 요즘은 고감도 성능이 좋아서 스트로보를 잘 안들고다녔는데 확실히 사진의 때깔(?)이 다르네요^^ 수고하셨습니다
    2021-02-19 23:29 신고

    008
    연후아아빠신이~♥ 추천
    와! 진짜 가격이 어마무시한 만큼 성능도 어마무시하네요. 물론 제가 사용하면 이런 결과물이 안 나올듯 합니다.ㅜㅠ 미세발광은 진짜 혁신적이네요.
    2021-02-20 04:25 신고

    009
    rapwing 추천
    얼굴우선측광과 미세발광을 이용한 인물촬영의 결과물이 놀랍습니다. 연속발광/충전시간 성능을 낮추고 방진방적을 뺀 저렴이 버전도 출시되면 좋겠습니다. 어두운곳에서 직광촬영시 동굴현상 억제해주는 것만으로도 사진찍는 즐거움이 몇배는 늘어날것 같아요.
    2021-02-20 06:58 신고

    010
    커피믹스 추천
    스트로보 가격이 렌즈값 만큼 비싸군요 ㄷㄷ
    2021-02-20 10:19 신고

    011
    약초 추천
    가이드넘버가 좀 낮더라도 휴대성 위주 버전이 나오면 좋겠네요 ㅎㅎㅎ
    2021-02-20 17:54 신고

    012
    토로 추천
    미세 발광과 안정적 발광량이 뚜렷한 특징이네요. 다양하게 활용 가능할듯 하구요.
    2021-02-20 18:29 신고

    013
    광장동찍사 추천
    성능도 정말 좋은 것 같고 그에 따른 사진도 아주 자연스럽습니다.
    리뷰가 거의 플래시 사용 매뉴얼같은 느낌이 드네요.. 취미 사진가 입장에서 플래시를 항시 들고
    다니면서 찍을 일이 많지 않기 때문에 10여 년 전에 산 플래시를 아직 업글하지 않고 있는데
    이건 물건이다라는 느낌이 확 오네요..
    리뷰 잘 봤습니다..
    2021-02-21 00:27 신고
    미틴초딩 추천
    미세발광 컨트롤이 가능한 무선동조기가 있나요? 궁금하네요.
    2021-02-21 08:29 신고

    015
    더더덕 추천
    좋은 리뷰 감사합니다.
    정말 엄청난 스트로보네요
    요즘 일본이 여러분야에서 죽쑤고 있지만 카메라 만큼은 그렇지도 않아보이네요
    여전히 대단해 보이기도 하고 부럽네요
    우리나라도 이정도 제품 만들어주는 카메라 회사가 있었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ㅠㅠ
    2021-02-22 09:21 신고

    016
    영검 추천
    예전에는 스트로보는 니콘이라는 말이 있었는데, 이젠 명함도 못 내밀겠네요.
    사진찍을때마다 고민이던 직광에서의 번들거림이 거의 없고..
    과연 제가 리뷰만큼의 실력은 안되겠지만.. 엄청 탐이 나네요.
    리뷰 볼수록,
    "오오오옹..와.. "감탄이 나는데.
    왜케 어려운지..조명은 정말 공부할게 많고 어렵네요.
    게다가 가격은.;;;왠만한 N, L렌즈급 가격이라..쉽게 엄두는 못나네요.
    저 가격만큼 스트로보를 자주 사용하는건 아니다보니 일반유저는 쉽게 살만한 물건은 아닐듯 합니다.
    그나저나 안그래도 캐논미러리스로 가야하나 고민중인데.
    이 리뷰를 보니 더 고민되네요.. 정말 대단한 캐논 같습니다.
    2021-02-23 16:58 신고

    017
    스노우찌 추천
    1/8192에 연속발광이라 좋네요.
    배터리가 AA 배터리가 아닌 규격화된 배터리라는 건 좋기도 하고 안 좋기도 하고 그런 거 같아요.
    2021-02-23 17:56 신고

    018
    어거스트러시 추천
    오 성능도 좋고, 발광회수도 좋군요!
    근데 성능만큼 가격도 높고, 무게도 꽤 되네요 음
    샘플 보니 진짜 좋은 물건이란 생각이 들어요~
    2021-02-23 18:06 신고

    019
    레머스 추천
    연사 발광도 어마무시합니다.
    선수들은 빗에서 작업해도 되겠군요!
    2021-02-24 16:07 신고

    020
    엉터리맨 추천
    사진작품부터 촬영설정까지~ 고생이 그대로 느껴지네요!
    평소에 관심가던 장비인 스트로보였는데 스피드라이트로 그 고생을 비춘거같아서 디테일하게 잘 보고갑니다
    2021-02-26 06:37 신고

    021
    Miss快男™ 추천
    스토로브가 엄청나군요 ~
    언제나 뽐뿌를 주는 팝코 리뷰..
    2021-02-26 07:26 신고

    022
    anii 추천
    스트로볻 고급화군요.. 일안반사나 미러리스등 카메라시장이 폰에 밀리면서 점점 고급화 전문가화 되네요..
    내 생애 카메라 언제 제대로 써봊나 싶네요..
    가격이 너무 오라갑니다..ㅠㅠ
    2021-02-28 20:32 신고

    023
    Soulmelt 추천
    빨간띠 스트로보라니ㄷㄷ
    아직 600exrt 1을 사용중인데 이녀석은 얼마나 체감성능이 좋을지 기대되네요 : )
    2021-03-02 20:30 신고

    024
    딸기피자 추천
    600EX2RT가 저렴해 보이는
    2021-03-05 21:29 신고

    025
    동작구민 추천
    튀지 않는 빛이 좋네요. 자연스럽습니다.
    2021-03-09 17:51 신고

    026
    dalian 추천
    스르로보도 고급화로.. ^^
    2021-03-10 14:02 신고

    027
    dalian 추천
    좋네요.. ^^
    2021-03-15 08:12 신고

    028
    팝콘맨 추천
    사진은 빛과의 사투인데 이 스트로보 하나로 엄청난 무기를 갖게 되었네요. 기술의 발전이 엄청납니다.
    2021-04-22 13:09 신고

    029
    동작구민 추천
    기술이 좋아져서 놀랍게 세밀한 셋팅이 가능하게 되었네요. 하지만 스트로보가격이 놀랍네요~~.
    2021-05-19 21:16 신고

    소셜 로그인 남겨주신 의견은 팝코넷회원 분들에게 큰 보탬과 힘이 됩니다. 새로고침

    로그인후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유: 권한이 없는 회원레벨
      
    △ 이전글: [리뷰] 루미나 AI | Luminar AI 업데이트 2
    ▽ 다음글: [리뷰] 캐논 | RF70-200mm F4 L IS USM 리뷰 / 사용기
    Copyright 1999-2025 Zeroboard
    맨위로